넘어졌을 때 혹이 생기는 이유는 충격 때문입니다. 이는 피부 밑 조직이 손상 된 상태이며 멍이나 부기가 나타나기 마련인데, 간단한 혹이라면 괜찮겠지만 여러 상황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골절이나 근육 인대 손상이 일어났을 때 나타나는 증상도 함께 정리 해 보았습니다.
🧐 넘어졌을 때 혹 원인
뼈 골절이나, 근육인대, 힘줄 손상, 간단한 타박상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뼈 골절: 충격이 강할 경우, 뼈가 부러지거나 금이 갈 수 있습니다. 이럴 경우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해야 합니다.
타박상: 넘어졌을 때 몸의 일부분이 바닥에 부딪혀 생기는 타박상이나 외상으로 인해 혈관이 터지고 부종이 생깁니다.
근육, 인대, 힘줄 손상: 넘어지면서 근육이나 인대, 힘줄이 당겨지거나 찢어질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그 부위에 부기가 생기기도 합니다.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넘어졌을 때 혹의 증상과 대처법
대 부분 타박상이나 근육 및 인대 손상, 뼈 골절인 경우가 많으며 머리나, 복부 등도 굉장히 위험하기 때문에 어떤 증상이 있는지 정도는 미리 알아두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타박상으로 인한 혹
- 증상: 넘어졌을 때 부딪힌 부위에 통증, 멍, 부기 등이 나타납니다.
- 대처법:
- 냉찜질: 넘어졌을 때 즉시 얼음찜질을 해 주면 부기와 통증 완화에 도움이 됩니다. 얼음팩을 수건에 싸서 10~20분간 부위에 대세요.
- 상처 관리: 피부가 긁히거나 상처가 있다면 소독 후 밴드를 붙여야 합니다.
- 휴식: 부딪힌 부위의 휴식을 취하고, 과도한 움직임을 피해야 합니다.
- 근육/인대 손상
- 증상: 통증이 지속적으로 느껴지고, 부위가 부풀어 오르거나 뻣뻣해짐을 느낄 수 있습니다.
- 대처법:
- R.I.C.E. 법칙:
- Rest (휴식): 부위를 쉬게 하고, 무리하지 마세요.
- Ice (냉찜질): 상처를 입은 부위에 얼음찜질을 20분 간격으로 합니다.
- Compression (압박): 압박 붕대를 이용해 부위를 감싸줍니다.
- Elevation (올리기): 다리가 부었을 경우, 발목을 높여서 부기를 가라앉히도록 합니다.
- 전문가 상담: 근육, 인대 손상이 심할 경우 물리치료나 의사의 진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 R.I.C.E. 법칙:
- 뼈 골절
- 증상: 부딪힌 부위가 강한 통증을 동반하며 움직이지 않거나 비정상적으로 변형됩니다.
- 대처법:
- 즉시 병원 방문: 골절이 의심되면 바로 병원에 가서 엑스레이 검사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 부목 고정: 의사의 도움을 받기 전, 상처 부위를 고정하여 추가적인 손상을 예방합니다.
- 활동 중지: 골절이 의심될 경우, 그 부위는 완전히 고정하고 움직이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4. 뇌진탕이 의심되는 경우
뇌진탕은 넘어질 때 머리에 충격을 받았을 경우 발생할 수 있으며, 뇌의 기능이 일시적으로 영향을 받는 상태입니다. 이 경우, 즉시 응급처치와 병원 방문이 필요합니다.
증상
- 의식 소실: 넘어졌을 때 잠시 의식을 잃은 경우.
- 두통, 어지러움: 넘어지거나 머리에 충격을 받은 후 심한 두통, 어지럼증, 메스꺼움이 지속될 때.
- 구토: 충격을 받은 후, 구토가 계속 되거나 시야가 흐릿해짐.
- 기억 상실: 사고 전후의 기억이 사라지거나 혼란스러워짐.
대처법
두통이나 어지럼증이 지속될 경우, 진통제나 구토 약을 복용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의사의 처방을 받아야 합니다.
즉시 병원 방문: 뇌진탕이 의심될 경우, 즉시 병원으로 가서 CT 검사나 MRI를 통해 상태를 파악해야 합니다.
휴식: 심한 증상이 있을 때는 휴식을 취하고, 추가적인 충격을 피해야 합니다.
5. 내부 출혈이 의심되는 경우
내부 출혈은 넘어졌을 때 복부나 가슴, 두부 등에서 내부 장기에 손상을 입어 출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는 생명에 위협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즉시 병원에 가야 합니다.
증상
- 심한 복통: 넘어지고 나서 복부나 가슴에 심한 통증이 나타나는 경우.
- 창백한 피부: 피부가 창백해지거나 차가워짐.
- 혈압 저하: 어지러움과 구토, 심한 약화가 동반되는 경우.
- 피가 섞인 소변이나 대변: 혈변이나 혈뇨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대처법
침착하게 응급처치: 출혈 부위가 외부로 보일 경우에는 압박을 가해 출혈을 멈추고, 부기를 최소화하려 노력해야 합니다.
즉시 병원 방문: 내부 출혈이 의심될 경우, 구급차를 부르거나 즉시 응급실에 가야 합니다.
6. 척추나 경추 손상이 의심되는 경우
넘어졌을 때 척추나 경추에 충격을 받으면 목과 허리에 심각한 손상을 입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전문적인 응급처치가 필요하며, 즉시 병원에 방문해야 합니다.
증상
- 목, 허리 통증: 넘어지거나 충격을 받은 후 목이나 허리에 심한 통증이 발생.
- 사지 마비: 손, 발이 저리거나 마비되는 증상.
- 움직임 제한: 몸을 움직일 수 없거나 강한 통증을 느낄 때.
대처법
- 움직이지 않게 고정: 척추 손상이 의심되면 몸을 움직이지 않게 고정하고, 구급차를 요청하여 병원으로 이송해야 합니다.
- 의료 전문가의 도움: CT 검사와 MRI 등을 통해 정확한 진단을 받아야 합니다.
7. 호흡 곤란이 발생하는 경우
넘어지면서 흉부에 충격을 받았다면 호흡 곤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폐나 심장에 손상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신속하게 대처해야 합니다.
증상
- 호흡이 힘들고 숨쉬기 어려운 경우.
- 흉부 통증: 가슴이 압박되거나 심한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대처법
휴식: 의료기관에 도달하기 전까지는 편안하게 앉거나 누운 자세를 취하고, 호흡을 진정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즉시 병원 방문: 호흡 곤란이 지속되면 응급실로 이동하여 엑스레이나 심장 초음파 등을 받습니다.
혹이 생긴 후 48시간 내 외부 변화 체크
극심한 통증: 통증이 48시간 이상 지속되거나 심해지면 의료진의 진단을 받아야 합니다.
혹이 커진다: 넘어졌을 때 생긴 혹이 계속 커지면 출혈이나 혈종이 심해질 수 있으므로 병원에 가야 합니다.
색 변화: 시간이 지나며 혹이 검은색 또는 보라색으로 변한다면, 내부 출혈이 있을 수 있으므로 전문적인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넘어졌을 때 혹 병원에 방문해야 하는 경우
골절이 의심되면 반드시 엑스레이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넘어졌을 때 몸이 비정상적으로 변형되었거나, 심한 통증이 계속될 경우.
부종이 급격하게 커지거나, 피부색이 변할 경우.
마침
지금까지 넘어졌을 때 혹 응급처치가 필요한지에 대해 알아 보았습니다. 상황이 심각한 경우 응급처치를 하고 빠르게 병원에 방문하는 것이 무엇 보다 중요하며, 저도 넘어져서 팔꿈치 뼈가 부러진적이 있었는데 넘어져서 그렇게 다칠 수 있나? 라고 생각하지 마시고 아프시면 바로 병원에 가시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