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 배우자 사망 시 유족연금 계산

국민연금 배우자 사망 시 유족연금 계산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사실혼 관계의 배우자라면 유족연금을 자연스럽게 지급받을 수 있지만 자녀나, 부모, 조부모의 경우에는 일정 조건을 충족해야 유족연금을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사실상, 거의 배우자까지만 유족연금이 지원된다고 보시면 될 듯합니다.

국민연금 배우자 사망 시 국민연금 조회

배우자 사망시 국민연금 조회는 국민연금공단을 통해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유족연금을 받기 위해서는 사망자가 다음과 같은 조건을 만족해야 합니다.

노령연금을 지급 받고 있던 경우
국민연금 가입 기간 10년 미만 ~ 20년 이상
사망하기전 5년 중 3년 이상 연금보험료를 납부, 3년 이상 체납한 적이 없는 경우
장애 2급 이상인 장애연금 수급권자

유족연금 지급기간은 월 소득 229만 원(2019년) 미만이라면 계속해서 지급됩니다.

국민연금 배우자 사망 시
국민연금 배우자 사망 시

유족연금 대상

배우자 사망시 받을 수 있는 유족연금 대상은 배우자 자녀 부모 손자녀 조부모가 있습니다. 나이 제한이 있기 때문에 사전에 미리 알아두셔야 합니다.

  • 배우자 : 사실혼 관계라면 유족연금 대상이 될 수 있음
  • 부모 : 60세 이상 장애등급 2등급 이상이라면 가능
  • 손자녀 : 19세 미만 혹은 장애등급 2등급 이상
  • 조부모 : 60세 이상 장애등급 2등급 이상
  • 자녀 : 25세 미만 장애등급 2등급 이상

나이 제한에 맞다 하더라도 장애등급 2등급 이상 이어야지만 유족연금 수령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가장 받기 편한 경우는 배우자입니다.

유족연금 보상

배우자 사망시 유족연금 보상은 이전에 받았던 만큼의 100%를 받지는 못하지만 가입기간에 따라 받을 수 있는 퍼센티지가 달라지게 됩니다.

  • 가입기간 10년 미만 : 기본연금액 40% + 부양가족 연금액
  • 가입기간 10년 이상 20년 미만 : 기본연금액 50% + 부양가족 연금액
  • 가입기간 20년 이상 : 기본연금액 60% + 부양가족 연금액

사망 일시금

국민연금은 배우자가 사망했을 대 유족연금 형태와, 반환일시금 형태로 나뉘어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유족연금은 앞서 설명드렸기 때문에 반환일시금에 대해 자세히 설명드리자면, 사망 혹은 국적상실, 국외 이주를 통해 연금 수급요건을 못 채운 경우 보험료에 이자를 더해 일시금으로 받을 수 있는 경우를 말합니다.

국민연금 사망 일시금 – 신청방법

사망 일시금 신청방법 또한 국민연금공단 지사에 직접 방문하거나 우편 전화 팩스를 통해 신청이 가능합니다. 수급을 받을 수 있는 권리를 가지고 있는 상태에서 5년 동안 청구를 하지 않게 되면 소멸시효가 되기 때문에 5년 이내에 사망 일시금을 수령해야 합니다.

대출 연체 하루 한달 지나게 되면?

채권추심 전화안 받으면 어떻게 될까?

학생이 합법적으로 돈 벌수 있는 방법

경기도 월세, 집 값 싼 지역 총 정리

100만원으로 돈 불리기

핸드폰 미납 바로 정지 푸는 방법

청년 버팀목 전세대출, 대학생도 가능한가요?

마침

지금 까지 배우자 사망 시 유족연금은 어떻게 되는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납입기간을 만족하지 못한 경우라면 어쩔 수 없이 일시금으로 받아야 하며 될 수 있으면 유족연금형태로 오래 받는 것이 생활에 많은 도움이 될 거라 생각되는데요. 청구권 소멸기간이 있고 연금을 못 받는 것도 손해를 보는 것이기 때문에 되도록이면 빠르게 신청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