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으로 돈벌기 현실적으로 가능한 방법

게임으로 돈벌기 현실적으로 가능한 방법에 대해 소개 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게임으로 돈을 벌 수 있는 장르는 MMO RPG 게임이지만 최근 RPG 게임들이 모두 하향세에 접어들게 되면서 사실상 신규 오픈 게임이 아닌 이상에는 시세 차익을 노리는 등 게임 돈을 버는 것이 많이 어려워진 것이 현실입니다.

게임으로 돈벌기 방법

제가 소개 해드릴 게임으로 돈 벌기 방법은 게임 머니 시세 차익, 캐시 아이템 묵혀두기, 대리 육성, 할인 캐시템 싸게 구매하기, 게임 내 장사 등입니다. 게임으로 돈을 벌 생각이라면 게임을 즐기겠다는 생각은 잠시 접어 두셔야 하는 것이 현실이고, 무엇 이든 돈을 벌려고 마음을 먹는다면 즐기지 못하게 되는 것은 당연하기 때문에 이런 부분도 염두해두셔야 합니다.

  • 꼭 100% 수익이 나는 것은 아니고 게임 또한 투자이기 때문에 자신에게 맞는 방법을 고르시는 것도 중요하고, 판단은 개인의 몫이라는 점 꼭 명심하시기 바랍니다.
게임으로 돈벌기
게임으로 돈벌기

게임머니 시세차익

게임머니는 구매자의 수요에 따라, 혹은 판매자의 입장에 따라 평균 게임머니 시세 대비 100~200원 정도는 충분히 싸게 구매할 수 있습니다. 보통 중개사이트를 거치게 되면 수수료가 5~10% 정도 더 발생하기 때문에 어려울 수 있으나 출시한 지 오래된 게임의 경우 단톡방이나 카페로 거래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수수료를 제외한 가격으로 싸게 구매해 시세차익을 남기는 방법입니다.

  • 판매 이익이 많지 않은 편이라 많은 금액을 융통해야 수익화할 수 있다는 것이 단점입니다.
  • 주식 단타처럼 회전율이 빨라야 하기 때문에 그리 추천드리는 방법은 아닙니다.

게임 캐시 비율이 3000 : 1만 원이라 가정했을 때, 9,800원에 100만 원을 구매하게 되면 20,000원의 수익을 남길 수 있습니다.

캐시 아이템 묵혀두기

게임마다 조금씩 다르겠지만 추석 시즌이나, 설날 시즌, 여름 방학 및 크리스마스 등 특별한 캐시 아이템을 판매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이런 아이템의 경우 3-4주 정도가 지나게 되면 물량이 없어져 가격이 오르게 되는 경우가 대 다수인데, 충분히 필요할 만한 아이템을 이벤트 기간에 판매하고 있다면 미리 구매해 두고 가격이 오르기를 기다렸다가 판매하는 방식입니다.

  • 장비 강화에 필요한 아이템이거나, 능력치에 관련된 아이템이라면 추천드리고 캐시거래가 가능한 아이템이어야 합니다.
  • 아바타 유형의 아이템은 호불호가 많이 갈리기 때문에 꼭 시세가 올라간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대리 육성하기

MMORPG를 즐기시는 분들 중 경제적 여유가 있는 경우라면 대리로 부주를 두는 경우가 많습니다. 자잘한 퀘스트나 육성은 다른 사람에게 돈을 주고 맡기고 메인콘텐츠만 즐기겠다는 마인드인데, 생각 외로 이런 분들이 꽤 있습니다. 게임에 대한 이해도가 어느 정도는 필요하고 계정 주인을 잘 만나야 합니다.

  • 계정 주인을 잘 못 만나는 경우 욕도 듣고 노예처럼 계정을 키우는 경우도 있습니다.
  • 계정 주인을 잘 만나면 인센티브도 받고, 즐겜 하면서 돈도 버실 수 있습니다.

계정 주인에 따라 벌이나, 노동 강도가 달라지기 때문에 꼭 인성이 괜찮은 분의 캐릭터를 키우시기 바랍니다.

할인 캐시템 구매하기

게임을 즐기다 보면 이벤트 시즌이나, 프로모션 기간에 20% 할인 및 30% 할인 같은 세일을 보신 적이 있으실 겁니다. 보통 이런 아이템들의 가격은 유저가 그대로 있고, 큰 업데이트가 있지 않는 전제하에 1달 전 후로 다시 원래 가격으로 돌아오게 됩니다. 구매하실 때 또한 문화상품권으로 8%~10% 정도 싸게 구매하실 수 있습니다. 문화상품권 싸게 구매하는 방법은 아래를 참고하시기 바라겠습니다.

문화상품권 싸게 구매하는 방법 8%~10%

아이템 가격이 원래 시세대로 돌아오게 된다면 30% 정도는 시세차익을 노려 볼 수 있게 됩니다. 가장 추천드리는 방법이긴 한데, 문화상품권을 구매하는 과정에서 “중고나라 문상 판매자” 분들에게 내상을 입을 수 있다는 생각을 꼭 가지고 진행하셔야 합니다.

게임 내 장사하기

게임으로 돈을 벌어보실 생각이 있다면 항상 하던 콘텐츠를 소비하거나, 사냥을 즐기지 마시고 경매장이나 거래창을 3~4시간 정도 유심히 바라보시기 바랍니다. 게임 내 장사는 콘텐츠를 소비하는 것과는 결이 다르기 때문에 따로 메모장이나 엑셀파일로 날짜 별 시세를 정리하고 어느 정도 시세차익을 남기는 방식으로 진행이 됩니다.

  • 게임 내에 아이템 시세 동향을 날짜 별로 파악할 수 있는 게임이라면 장사로 남겨먹기가 어렵습니다.
  • 이제 게임을 즐기시는 것이 아니라 “자영업자”가 되었단 마인드로 장사를 하셔야 합니다.

게임으로 번 수익 세금은?

연 수입 600만 원 까지는 세금에 대해서도 자유롭고 사업자등록도 안 해도 되지만 그 이상부터는 사업자 등록을 해야 하고 수익이 더 많아지게 되면 따로 세금도 부과받게 됩니다. 게임으로 돈 버는 것을 누군가는 불법이라고 하는데 이건 법리적으로도 맞지 않는 말이고 벌기가 힘들 뿐이지 버는 분들은 얼마든지 있다고 봅니다.

게임 장사 (아이템, 계정) 수익 세금 내야 할까요?

게임으로 돈 벌지 말아라?

성인이 된 후라면 아무런 관계가 없지만 청소년이라고 한다면 중학교를 기점으로 아르바이트를 하더라도 학교 측의 허락이 있거나 부모님의 동의를 받아야 시작할 수 있습니다. 성인이라면 취미로 라도 연 600만 원 이내에서는 자유롭게 벌 수 있기 때문에 굳이 자신이 하고 싶어 하고 관심 있게 할 수 있는 부업을 안 할 필요는 없다고 봅니다.

경기도 월세, 집 값 싼 지역 총 정리

100만원으로 돈 불리기

핸드폰 미납 바로 정지 푸는 방법

청년 버팀목 전세대출, 대학생도 가능한가요?

마무리

지금까지 게임으로 돈벌기 현실적으로 가능한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우리가 책을 보더라도 “돈이 되는 지식은 따로 쓰지 않았을 거야”. 란 생각으로 접근을 하게 되는 것은 당연한 것 같습니다. 사실상 게임으로 돈을 많이 버시는 분들은 자신이 어떤 게임을 하는지도 비밀로하고, 자신의 방법을 알게 되면 그대로 수익을 나눠가져야 하기 때문에 정보를 알려주려 하지도 않을 것입니다. 게임으로 돈 버는 사람들은 이런 생각 방식으로 접근을 하고 있구나. 정도만 이해하시고 이 부분에서 시간과 공을들여 나만의 방법을 찾는 것이 가장 현실적인 방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