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날돈의 가치는 희소성과, 보존 상태, 수집가의 수요, 시대상에 따라 달라지게 됩니다. 비싼 발행연도가 있고, 조선 시대 때나, 일제강점기, 해방 이후 등 여러 시대에 따라 가격이 다른데 얼마나 가치가 있는지 옛날돈 가격 자세히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옛날돈 가격
조선 시대 주화, 일제강점기 화폐, 해방 이후나 기념주화 등이 있으며 시세가 비싸게 책정되어 있다 할지라도 보존상태가 좋아야 제 값을 그대로 받기 때문에 미리 알아두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① 조선 시대 주화 (동전)
화폐명 | 발행 연도 | 희소성 | 시세 (대략) |
---|---|---|---|
상평통보 | 1600~1894 | 일반적 | 1,000~50,000원 |
대동통보 | 1866년 | 희귀 | 10만~50만 원 |
조선통보 | 1423~1894 | 일부 희귀 | 10만~100만 원 |
- 상평통보는 흔하지만, 특정 주조소에서 제작된 희귀 버전은 수백만 원을 넘기도 함.
② 대한제국·일제강점기 화폐
화폐명 | 발행 연도 | 특징 | 시세 |
---|---|---|---|
대한제국 백동화 | 1892~1905 | 희귀 | 5만~100만 원 |
일본 제국은행권 | 1910~1945 | 조선은행권 | 1만~200만 원 |
일제강점기 은화 | 1910~1945 | 순은 포함 | 20만~500만 원 |
- 대한제국의 “광무개혁 백동화”는 개수가 적어 희귀한 편.
③ 해방 이후 대한민국 지폐
화폐명 | 발행 연도 | 희소성 | 시세 |
---|---|---|---|
1환 지폐 | 1950년대 | 희귀 | 50만~200만 원 |
500원 (세종대왕) | 1973년 | 폐지된 고액권 | 10만~50만 원 |
5000원 (이이 초상) | 1962년 | 초기 발행분 | 100만 원 이상 |
- 1950년대 지폐는 전쟁 시기에 발행되어 보존 상태가 좋지 않음. 깨끗한 상태는 희귀하여 고가에 거래됨.
④ 기념주화 및 금·은화
화폐명 | 발행 연도 | 특징 | 시세 |
---|---|---|---|
1988 서울 올림픽 기념주화 | 1988년 | 금·은화 | 20만~500만 원 |
독립기념주화 | 1995년 | 은화 | 10만~50만 원 |
- 특히 금화는 금값이 상승하면서 높은 가격에 거래됨.
투자 가치가 있을까?
- 특정 연도, 한정판, 희귀 버전의 화폐는 시간이 지나면서 가치가 오를 가능성이 큼.
- 금화, 은화는 귀금속 가격이 상승하면 자연스럽게 가치가 증가.
가격 상승이 안되는 것은 아니지만 시간이 엄청 오래걸리기 때문에 후대까지 생각해서 투자하는 느낌이 강합니다.
보존 상태 (그레이딩)
- 화폐의 상태가 깨끗하고 손상이 없을수록 높은 가격을 받을 수 있음.
- 국제적으로 PMGS (지폐 평가), NGC (동전 평가) 등의 등급을 매김.
- 예시:
- UNC (미사용 상태, Uncirculated) → 가치 높음
- XF (극히 좋음, Extra Fine) → 약간의 사용 흔적이 있음
- VG (아주 좋음, Very Good) → 상당한 사용 흔적이 있음
마침
옜날돈 가격 가치는 어떻게 정해지는지 자세히 알아 보았습니다. 일반적인 동전은 사실상 액면가 그대로인경우가 많고 보존 상태가 좋은 경우라면 수백만 원 까지 호가 하는데 특히 상평통보나 백동화, 해방 후 초기 지폐는 가치가 높은 편이고 금화 은화는 금시세 은시세를 따라가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가격을 확인해 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